본문 바로가기
책/경제경영 책

시가총액 뜻과 의미! 1분 만에 이해하기!

by 북북(BookBook) 2021. 2. 19.
반응형

시가총액 뜻과 의미! 1분 만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북북(BookBook) 라이브러리입니다.

 

주식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경제 기사를 읽다 보면 항상 나오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시가총액' 이죠.

 

저도 처음에는 시가총액보다는 주가가 더 중요하여도 생각했지만 아니었습니다.

시가총액이라는 단어가 중요한 만큼 최대한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중간에 문제도 넣었습니다.

 

그래서 1분 만에 이해하실 수 있게 시가총액의 뜻과 의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시가총액 뜻

 

시가총액은 기업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기업이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이죠. 그래서 애플의 시가총액이 가장 큽니다. 즉, 애플의 크기가 가장 크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주가와 시가총액을 헷갈리면 안 됩니다. 시가총액은 현재 주가에 그 기업의 총 주식 발행수입니다. 한번 공식으로 보겠습니다.

더보기
시가총액 = 현재 주가 X 총 주식의 갯수

이게 시가총액의 공식입니다.

 

만약 현재 주가가 1만 원이고 총주식의 개수가 5개라면 그 회사의 시가총액은 5만 원입니다.

이렇게 공식으로 쓸 수 있죠.

더보기

5만 원(시가총액) = 1만 원(현재 주가) X 5개(총주식의 개수)

 

그럼 문제를 하나 내보겠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것처럼 삼성전자에 주가는 8만 2천100원입니다.

 

그리고 아래에 보이시는 것처럼 LG 생활건강에 주가는 150만 원이 넘습니다.

 

그러면 삼성전자와 LG 생활 건강 중에 어떤 기업이 더 큰 기업일까요?

더 비싼 기업은 어느 기업일까요?

 

정답은 모두가 아시겠지만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삼성전자입니다.

삼성 전자 주가 한 개 가격은 낮을 수 있어도 시가총액은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주식투자는 항상 시가총액을 봐야 합니다.

가격은 그냥 거래되는 가격일 뿐입니다.

가격으로만은 기업가치의 변화, 경쟁기업과의 비교를 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가총액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처럼 시가총액을 확인하면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투자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하루하루 가격의 변화보다는 시가총액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투자하는 습관을 기릅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