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북북(BookBook) 라이브러리입니다.
여러분은 주식에서 물린 상황이 벌어진 적 있나요?
아니면 주식을 더 저렴하게 매수하고 싶은데 어떻게 확인할지 잘 모르겠다고요?
그럴 때는 추세선을 알아야 합니다.
물론 주식시장에서 100%는 없고 주가가 어떻게 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래도 도움이 됩니다.
보다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이 단어의 의미를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추세의 뜻과 추세가 중요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추세선이란?
추세의 뜻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의미를 주식시장에 적용하면 주가가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상승추세란 상승방향이 지속되는 상황이고, 하락 추세란 하락 방향이 지속되는 상황입니다.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추세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가가 옆으로 횡보하는 흐름이 나올 때를 비추 세구 간이라고 합니다.
비추 세구 간에서는 방향성 없이 주가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승추세란 주가의 상승세가 계속 이어지는 상황으로, 저점과 고점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 형태입니다.
하락 추세란 이와 반대로 저점과 고점이 점진적으로 내려가고 있는 형태입니다.
횡보 추세는 저점과 고점이 일정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기간에 따라서 추세도 달라집니다.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바로 단기 추세, 중기 추세, 장기추세입니다.
장기 추세는 상승인데, 단기 추세는 하락인 경우도 있고, 단기추세는 상승인데 장기추세는 하락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 점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장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한다고 단기적으로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단기 추세는 볼 때는 일봉을 보고, 중기 추세를 볼 때는 주봉을 보고, 장기추세를 볼 때는 월봉을 봅니다.
투자하는 성향에 따라 각각 보는 추세가 다릅니다.
주로 단기로 투자판단을 하는 투자자는 일봉의 추세를,
중장기로 투자판단을 하는 투자자는 주봉과 월봉의 추세를 보고 판단합니다.
여기서 일봉과 주봉 그리고 월봉의 뜻을 간단히 알려드리자면,
일봉은 하루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 차트이고 주봉은 한 주간의 주가흐름 나타낸 차트, 월봉은 한 달간의 주가흐름을 나타낸 차트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다면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도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저점은 저점끼리만 연결하고, 고점은 고점끼리만 연결하며 됩니다.
저점과 고점을 연결하는 선은 추세선이 아닙니다.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는 추세선을 지지선이라고 하고,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선을 저항선이라고 합니다.
추세선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주식시장에서 한 번 형성된 추세는 계속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도 관성의 법칙이 작용합니다.
즉 상승추세가 시작되면 계속 상승세가 이어지는 경향이 있고, 하락 추세가 시작되면 계속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시가총액이 큰 기업일수록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에 추세가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보유한 기업이 현재 상승추세인지, 횡보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를 꼭 확인을 하고 투자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물리는 상황이 적어지거나 나중에 주식을 더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죠.
결론
이번 글에서는 추세선의 뜻과 추세선 확인이 중요한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도 추세선을 확인하셔서 보다 더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책 > 경제경영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할 때 중요한 사업 보고서의 내용과 제출 시기 알아보기 (14) | 2021.03.14 |
---|---|
옵션이란? 옵션 뜻과 콜옵션과 풋옵션 뜻 알아보기 (12) | 2021.03.12 |
기관 투자자 종류 4가지와 각 종류별 투자 방법 및 영향력 알아보기 (11) | 2021.03.09 |
OEM과 ODM의 뜻 및 차이점 - 1분만에 이해하기 (17) | 2021.03.08 |
상한가/하한가 뜻과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뜻 - 1분만에 이해하기! (18) | 2021.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