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경제경영 책

상한가/하한가 뜻과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뜻 - 1분만에 이해하기!

by 북북(BookBook) 2021. 3. 7.
반응형

상한가/하한가 뜻과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뜻

 

안녕하세요, 북북(BookBook) 라이브러리입니다.

 

다시 찾아온 경제 용어 시간입니다.

 

주식을 하지 않아도 상한가와 하한가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상한가 뜻은 그냥 주가가 오르는 것이고 하한가는 그냥 주가가 내리는 것이라고 생각하셨으면 이번 글 끝까지 읽으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또 주식을 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을 알 수 있는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상한가와 하한 간의 뜻 와 사이트카와 서킷브레이커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상한가, 하한가란?

 

한국에서는 선의의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별 주식의 가격 변동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일 종가 기준으로 30% 이상 오르거나 내릴 수 없게 하는데, 이를 상한가 그리고 하한가라고 합니다.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A 주식의 주가가 30% 상승했으면서 상한가이고,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A 주식의 주가가 30% 떨어졌으면 하한가 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 주식이 10000원입니다. 그런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13000원이 되었으면 상한가입니다. 30%가 상승했기 때문이죠. A 주식이 10000원입니다. 그런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7000원이 되었으면 하한가입니다. 30%가 내려갔기 때문이죠.

 

"미국은 제한이 없는데 한국은 하루에 30% 밖에 못 오른다고?"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사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은 가격제한폭이 대부분 없다고 합니다. 자본 시장 발달 정도가 낮은 국가일수록 가격 제한 폭이 좋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대한민국도 성장해서 오히려 성장해서 15%에서 30% 확대된 것입니다. 2015년 6월 15일 전까지는 15%가 하루 최대였습니다.

 

앞으로 대한민국이 더 성장해나간다면 언젠가는 대한민국도 가격 제한이 없는 날도 올 것 같습니다,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중지될 때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지나치게 큰 폭으로 급등락 할 때,

투자심리를 진정시키고 다수의 투자자들이 관련 정보를 공유할 시간을 주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도가 있습니다.

 

하나는 사이드카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킷브레이커라고 합니다.

 

그럼 각각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드카란?

 

선물 가격이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 이상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 후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됩니다.

 

그러나 5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체결이 재개됩니다.

주식 시장 매매 거려 종료 40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1일 1회로 한에 발동할 수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란?

 

주가가 갑자기 급등락 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주식거래 중단 제도'라고 합니다.

 

2015년 6월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 하루 1회 발동되던 것에서 3단계에 거쳐 발동되는 것으로 변동되었습니다.

 

간단하게 3단계를 알려드리자면 1단계는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모든 주식거래를 20분간 중단한 후 10분 간 새로 호가를 접수하여 단일 가격으로 처리합니다.

그다음 단계인 2단계도 15% 이상 하락한 경우에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하지만 3단계는 즉 20% 이상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당일 시장이 그냥 종료됩니다.

 

결론

 

이번 글에서는 주식을 한다면 알아야 할 기초 상식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상한가가 그냥 오르기만 하면 상한가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경제 단어를 하나씩 배워가니 나름 재미도 있습니다.

 

확실히 꾸준히 하기 쉽지 않은 목표는 남들과 공유해야 되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