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경제경영 책

코스피란?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 뜻과 지수 계산 방법

by 북북(BookBook) 2021. 3. 5.
반응형

코스피란?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 뜻과 지수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북북(BookBook) 라이브러리입니다.

 

경제에 관심이 없어도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인데요.

 

정말 간단하면서도 단어의 뜻을 알면 경제 기사와 뉴스가 훨씬 쉬워지는 마법을 가진 단어입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 뜻과 지수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분만에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직접 사진을 넣어 예시도 추가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 시장에는 대기업들이 상장되었습니다.

카카오, 현대차, 네이버,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죠.

여기서 상장이라는 뜻은 등록이라는 뜻입니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치면 1500조 정도 됩니다.

 

그리고 그 시가총액을 지수로 표현하게 코스피 지수입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조금 더 어려운 단어를 사용해서 코스피 지수를 설명한다면,

코스피 지수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회사에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총합인 시가총액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입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 코스피 주가 수준과 주가 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코스피 지수와 똑같은 말로는 한국 종합 지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코스피 지수는 계속 변합니다.

 

주식의 변동성에 따라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지수도 바뀌는 것이죠.

 

2021년 3월 기준으로 코스피 지수는 3000 정도입니다. 

 

코스피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

 

코스피 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은 대부분 유가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주가지수라고 하면 코스피를 자칭한다고 하면 됩니다.

 

그리고 종합주가 지수는 1980년 1월 4일을 기준점으로 하여,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고, 이를 기준으로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이 얼마인가를 계산하여 산출합니다.

 

조금 더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016년 6월 기준 코스피 지수가 2000이면 36년간 지수가 20배 오른 셈입니다.코스피 지수는 1980년에 시작했고 기준시점이 시가총액을 100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2021 3월 기준으로 코스피 지수가 3000이면 41년간 지수가 30배 오늘 셈입니다.

결론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와 코스피 뜻 그리고 코스피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코스피와 코스피 지수' 정말 뉴스에서 많이 들었는데 이제 확실히 개념을 알겠죠.

 

코스피 지수 계산 방법도 그냥 "대충 이런 방법으로 계산하는구나"라고만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코스피와 코스피 뜻 그리고 코스피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