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경제경영 책

2030년의 새로운 중산층은?(2030축의 전환)

by 북북(BookBook) 2021. 1. 20.
반응형

2030년의 새로운 중산층은?

 

안녕하세요, 북북(BookBook)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해드릴 책은 '2030 축의 전환'입니다.

 

제가 2030 축의 전환 책을 일다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바로 새로운 중산층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새로운 중산층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새로운 중산층

우선 설명하기 전에 우선 간단하게 FCC와  CU를 알아봅시다.

 

FCC 란 미국 행정부 산하 기관인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의 기술 및 안전 승인 기준을 통과한 제품이라는 뜻입니다.

 CU 는 유럽 안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승인입니다.

 

그런데 제품을 보면 미국 승인과 유럽 승인만 있습니다.

왜 미국과 유럽에 승인만 표시되어 있을까요?

다른 국가나 경제 동맹들의 승인을 필요 없는 걸까요?

 

그 이유는 현재 미국과 유럽이 가장 큰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시장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다는 뜻이죠.

 

그렇지만 저자는 2030년이 되면 중국과 인도가 세계에서 가장 큰 소비자 시장이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이제 FCC와 CU 외에 중국과 인도 승인 표시가 찍힐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중산층이 인도와 중국의 중산층입니다.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닌 또 많이 소비합니다.

그러면 이 새로운 중산층들이 이제 꼭 미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따라서 같이 좋아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월마트(미국 어디를 가도 있는 대형마트)는 스키장을 고사하고 눈 덮인 산조차 찾아볼 수 없는 브라질에 스키를 가져다 팔려고 했고,

물건을 소량으로 구입하기를 원하는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 포장 상품만 내놓다가 결국은 철수했습니다.

또 인도와 중국의 소비자들은 매장이 크면 당연히 물건 값도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미국 소비자들은 대형 매장에 가장 저렴한 물건이 모여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또 인도와 중국 시장에 진출하지 못했죠.

 

제가 미국을 부정하고 특히 월마트를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저도 월마트 자주 가고요.

 

하지만 제가 말하고 싶은 핵심은 딱 2가지입니다.

 

'앞으로 중국과 인도는 지금보다 훨씬 성장할 것이고.

그리고 소비자의 성향을 잘 파악해서 그에 맞는 물건을 내놓는 기업은 더 성장 할 것이다'입니다.

 

하지만 이것 외에도 미국을 이끌어가는 사업은 많으며 미국 사람들 기반으로 된 서비스 예를 들어 넷플릭스가 꼭 중국 사람들 취향에 맞추지 않는다고 비난받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 당신이 충성하는 고객한테 최고의 서비스를 주어라"라는 말을 마케팅 책이 많이 하듯이 말이죠.

 


이번 글에서는 새로운 중산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30년이 돼도 중국, 인도 국가들이 반드시 미국과 유렵을 뛰어넘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가 미국과 유렵을 뛰어넘지는 못하더라도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가들이 성장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저는 새로운 중산층 챕터에서 신기한 사실을 많이 배웠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중산층에 대해서 더 궁금하시다면 책을 읽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도 더 신기한 2030년 모습을 들고 오겠습니다.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